이지스함 3척 추가 건조 의미를 바로 알자.
우리 군은 이미 3척의 이지스함을 운용 중이며 서해도발이나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감시에서
이지스함 성능은 이미 여러번 증명 되었습니다.
어떤 물건을 사용해보고 추가로 구매하는 것은 그만큼 군에서도 성능을 인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많이 운용하고 해택을 보는 곳은 합참 입니다.
이지스함 체계는 해군의 체계라기 보다는 우리군의 체계라고 보는것이 옳습니다.
더구나 이지스함의 건조일정을 보자면 2025년 까지 하는 11년 간 사업이며
그동안 2007년 부터 꾸준히 해온 사업의 연장선 입니다.
DDG-991 | 세종대왕 | 2007년 5월 25일 진수 | 2008년 12월 22일취역 | 현대중공업 |
DDG-992 | 율곡 이이 | 2008년 11월 14일 진수 | 2010년 8월 31일 취역 | 대우조선해양 |
DDG-993 | 서애류성룡 | 2011년 3월 24일 진수 | 2012년 8월 30일취역 | 현대중공업 |
3척 추가건조는 앞의 사업보다 장기적 사업이며 사업비도 분산 됩니다.
그러므로 타 사업에도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1. 가장 큰 의미인 사용 용도는 이지스함 감시 시스템 체계가 완성되지 못한 것을 완성 하는 것입니다.
이지스함 6척 체제는 이지스를 처음 운용해 보기전 약 10 여년전 해군에서 요구한 것입니다.
구축함을 여러척 운용해 본 해군이 삼면이 바다인 한국에서 24시간으로 이지스함을 배치하려면 적어도 이지스함이 6척이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 한 겁니다.
하지만 예산 때문에 3척만 우선 제작한 것입니다.
지금까지 3척을 운용해본 결과 긴장 지역인 동해와 서해의 24시간 감시도 당연히 불가 합니다.
배라는 것은 24시간 사용하는 시스템이라서 오래 쓰기 위해서는 1~2년간 사용하면 몇달간 정기적으로 큰수리를 하고 장비를 점검 해야 합니다.
수리가 없더라도 보급을 위해 부두에 정박하거나 점검을 위해 엔진을 꺼야 한다면 이지스 체계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참고로 SPY-1D(V)레이더는 엔진이 완전히 가동된 상태에서 고출력 전력을 받아야 정상가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해군은 약15일 정도 해상에서 3직제로 24시간 근무하고 꼭 쉬어야 합니다.
아니면 사람인 이상 몇년간 해상 생활을 버티지 못합니다.
이지스함 이라는 것은 지상레이더와 같이 일정지역에 있는것이 아니라 불특정 해상으로 쉽게 움직이며 숨어 다니는 해상 감시 레이더 기지란 장점이 있지만 배라는 단점도 있는 것입니다.
이번에 3척추가 제작은 전시상황이나 한반도 긴장상황을 대비하여 24시간 운용 감시 체계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2.성능으로 분석하자면
메인 대공 감시 레이더로 SPY-1D(V)가 장착될 것입니다.
또한 기존의 세종대왕급을 더욱 개량하여 베이스라인 9를 탑재 한답니다.
베이스라인9는 탄도 미사일 탐지 및 추적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예산문제가 있지만 일부SM-3와 SM-6 미사일이 장착될 경우 강력한 장거리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을 조금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됩니다.- 관련된 전략은 아래 단락에 거론 하겠습니다.
일단 SPY-1D(V) 성능은 SPY-3가 완성되지 못한 현단계 에서는 가격대(?) 성능이 가장 우수합니다.
설사 SPY-3가 완성 되더라도 미국 배치가 우선이며 가격 또한 우리나라가 체택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일부 멀티빔 레이더의 S-벤드 성능을 상회합니다.
SPY-1D(V)는 300해리(약500km) 성능을 가지며 주파수를 일부 집중하면 1000km 까지 감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하지만 지구는 둥글고 배라는 한계 때문에 300km정도가 해상 감시 영역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림의 큰원은 500km 작은원300km 입니다. 3군대 함대의 긴장지역에 24시간 이지스함 배치는 이러한 모양 입니다.
3.전략적으로 분석하자면
이지스 3척이 추가되면 그동안 불가능했던 3면 바다의 24시간 감시가 가능해집니다.
평시에도 가능하지만 긴장상황이나 주권도발에 확실 대처 할수 있는 장비가 생기는 겁니다.
이런 시스템에서는 북한은 물론 중국군이나 일본 자위대의 움직임까지 사전 파악하며 한국의 위상이 틀려집니다.
감시체계만 으로도 주변국을 견제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6척체계에서는 동해 서해 뿐만 아니라 전략적으로 중요도가 훨씬 올라간 남해나 ,부산, 제주도 앞바다에
이지스를 배치 할 3면의 바다 감시체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지스함 6 척이란 적은 숫자로 볼때 으로 한국형 KMD를 하는 것이지 미국형 MD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이지스함의 장점인 감시에 적당한 장비로 운용될 뿐이라는 겁니다.
미국형MD은 이지스함이 훨씬 공격적으로 운용되어 많이 필요하고
공격범위 까지 외기권으로 확장한 개념이며 북한의 1000여 기 단거리 탄도탄이 위협하는 한국에서 구현하기에 적당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한국이 일부sm-3를 도입한다 하더라도 북한 일부 장거리 탄토탄을 견제하는 숫자 정도 입니다.
이지스함 추가 제작은 이미 이지스 시스템을 도입한 한국이 마무리 하는 사업이며
그 해택은 우리군과 우리국민 모두이고, 해군이 아니라 합참이나 공군 육군도 같이 받을 겁니다.]
해상방어 시스템은 매우중요하며 본토가 전쟁이 일어나기전 대비할수 있다는 의미도 중요합니다.
본토가 공격당한다는 의미는 가족들과 회사나 산업기반이 위험하단 의미 입니다.
적들이 해상을 통해 도발을 하자면 이지스함부터 공격해야 할겁니다.
어설픈 몇가지 시스템의 조합 보다는 한가지 확실한 성능의 시스템을 마무리하고 미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군사적으로도 좋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³о정보방 >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조사 이름 봉투쓰기 (0) | 2017.02.18 |
---|---|
한국 지폐 변천사 (1902년부터 지금까지..) (0) | 2012.06.02 |
대나무꽃 (0) | 2011.03.19 |
가족,친가,외가,고모댁 상황별 호칭 총정리 (0) | 2010.05.15 |
순양함·구축함·호위함·초계함 등은 어떤 함정들이며 무엇이 다른가? (0) | 201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