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о사랑방/거제시 댄스스포츠연맹(사진)

라틴댄스종류......

용선정 2015. 5. 24. 17:31

 

라틴댄스에는 5종류가 있습니다.

들어보시면 앗 하실꺼에요..

룸바, 자이브, 파소도브레, 차차차, 삼바 입니다..

운도 오라버니도 많이 부르셨죠..삼바삼바삼바~ 삼바~ 삼바춤을 추는여인....ㅎㅎ

다함께 차차차~ 차차차~

정말 주변에서도 많이들어 오던것이 라틴댄스였다니...ㅎㅎ

새삼스럽네요..

그럼 이런 댄스가 어떤 건지 살짝 알아볼까요!

 


 

1.룸바

​쿠바의 전통적인 춤으로, 그 음악은 타악기와 코러스만으로 연주되며 폴리리듬(polyrhythm)을 가질 만큼 리듬이 복잡하다. 1930년 무렵부터 미국과 유럽 각지로 전파되어 새로운 사교춤으로 유행했다.

룸바는 그 리듬이 매혹적이면서도 피겨(figure)가 단순해 춤을 익히기가 비교적 어렵지 않다. 음악은 4분의 2박자나 4분의 4박자로 이루어지는데, 연습할 때는 박자를 세기 편하도록 4분의 4박자로 하는 편이 좋다. 전통 쿠바식 룸바의 경우 1박에서는 엉덩이를 아주 조금만 옆으로 움직이고 실질적인 발동작은 2, 3, 4박에서 한다.

 

 

2.자이브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시작되어 1939년 무렵부터 크게 유행했다. ‘아메리칸 스윙(american swing)’으로 불리기도 한다. 자이브는 한마디로 재즈 음악에 맞춰 추는 격렬하면서도 선정적인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무도장을 따라 한 바퀴 도는 방식이 아니라 어떤 방향에서나 자유롭게 진행되는 춤이기도 하다. 자이브 음악은 4분의 4박자로 이루어지며, 템포는 1분에 42~44소절 정도의 속도이다. 또한, 자이브의 기본 리듬은 트리플, 즉 3박자 리듬(triple rhythm)이다.

 



 

 

기억하시나요 무한도전에서 열심히 라틴댄스를 연습하시던 일이..ㅎㅎ

유재석씨가 열심히 자이브를 추셨지요...

너무 잼있었는데..

연습이혹독해서 다끝나고 눈물을 다 흘리셨지요.....ㅜㅜ

 

3.파소도브레

스페인에서 발생한 무곡(舞曲)으로 빠르고 율동적인 리듬이 특징이다. 박자는 일반적으로 4분의 2박자나 8분의 6박자인데, 각종 경연 대회에서는 4분의 2박자만 허용하고 있다. 템포는 1분에 60~62소절 정도이다.

댄스스포츠로서 파소도블레의 기본 동작은 비좁은 장소에서도 잘 어울린다. 남성 무용수의 동작은 투우장에서 투우사가 하는 움직임을 상징하며, 여성 무용수의 동작은 소가 달려드는 투우 망토인 케이프(cape)의 움직임을 본떠서 만들어진다. 파소도블레는 유럽 대륙 중에서도 프랑스에서 특히 사랑받았다.

 



 

4.차차차

쿠바의 무곡(舞曲)인 단손(danzón)이 개조되어 생겨난 것으로, 1950년대 중반부터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차차차는 이름만큼 리듬도 이해하기 쉽다. 이 댄스는 봉고(bongo)와 마라카스(maracas)의 독특한 비트에서 그 명칭의 유래가 짐작된다.

차차차 음악의 특징은 단음 또는 스타카토(staccato)의 지속이라고 할 수 있다. 박자는 일반적으로 4분의 4박자로 연주하며, 이따금 4분의 2박자로 연주할 때도 있다. 템포는 1분에 28~36소절 정도의 속도인데, 32소절을 가장 이상적인 템포로 보고 있다. 차차차 역시 룸바(rumba)처럼 두 번째 박자에서 스텝이 시작된다. 푸트워크의 경우, 발의 볼 부분부터 바닥에 닿고 이어서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닿게 한다. 발뒤꿈치로 리드하는 동작은 없다.




5.삼바

브라질 흑인계 주민들이 즐기기 시작한 춤 또는 그 춤곡을 말한다. 매우 빠르고 정열적인 특징이 있으며, 4분의 2박자가 기본이지만 때로는 4분의 4박자로 춤을 추는 경우도 있다.

삼바는 초보자부터 경험이 풍부한 무용수까지 모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볼룸댄스이다. 템포는 1분당 45~65소절로 상당히 다양한 편인데 가장 이상적인 것은 1분당 50소절로 보고 있다. 삼바는 지역과 춤의 형태 등에 따라 리우데자네이루 삼바라는 뜻의 삼바카리오카(samba carioca)와 삼바디모로(samba di morro), 삼바바투카다(samba batucada) 등으로 나뉜다. 그 중 오늘날처럼 사교댄스의 면모를 갖춘 것은 삼바카리오카(samba carioca)로, 일반적으로 삼바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